– 감속 마지막 스텝을 “스프링판” 삼아 즉시 힙·무릎·발목 트리플 익스텐션– 40 m 통과까지 팔·무릎 리듬 유지
세팅 & 진행
항목
권장 값
설명
콘 배치
0 m · 10 m · 20 m · 40 m
총 직선 40 m, 감속 ↔ 재가속 지점 한눈에 구분
세트
3 세트
90–120 s 휴식(걷기 회복)
반복
세트당 3~4 런
주당 총 9~12 런이면 충분히 자극
RPE 목표
1·3번 구간 RPE 8-9, 2번 구간 RPE 5
감속 구간에서 심박·호흡 살짝 정비 후 재폭발
측정
0-10 m, 20-40 m 구간별 스플릿 타임
첫 가속·재가속 능력 향상 추적
드릴 효과
급감속-재가속 전환을 5 초 안에 반복 → 실제 경기 볼 뺏기 ⇆ 압박 전환 상황과 동일.
10 m 가속 + 20 m 스프린트로 단거리 폭발 & 최고 속도 존을 모두 자극.
감속구간에서 햄스트링-사두근 편·수축 전환 훈련 → 부상 예방.
자주 나오는 오류 → 교정
오류
교정 큐(Cue)
감속 때 뒤꿈치만 찍고 “쿵” 멈춤
“무릎 굽혀서 3 스텝 롤링 브레이크”
재가속 첫 걸음이 짧고 끊김
감속 마지막 스텝을 길게 딛고 힙 사출
재가속 구간 상체가 과도하게 뒤로 젖힘
“가슴 직선, 시선 전방 10 m”
진행 단계(4주 예시)
주차
세트 × 반복
휴식
노트
1-2주
3 × 3
120 s
기술 습득, 폼 우선
3-4주
3 × 4
90 s
반복 수↑, 강도 유지
10-10-20 드릴을 수·목 어느 날이든 주간 1-2 회만 정확히 수행해도 전환 첫걸음 속도, 급정지 후 재가속이 눈에 띄게 빨라집니다. 콘만 세워 놓고 파트너와 스톱워치를 들면 바로 실행 가능하니, 토요일 조기축구 전환 싸움의 “숨은 무기”로 활용해 보세요! 🏃♂️💨